연구원소식
연구원동정
전체 1,226건 페이지 6/123
-
‘국제적 첨단기술 경쟁과 한미관계’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9월 4일(수,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조지워싱턴대학교에서 KDI국제정책대학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조지워싱턴대학교(GW), 존스홉킨스대학교가 공동으로 주최한 《코리아 위크(한미 공공외교 컨퍼런스)》의 일환으로 ‘국제적 첨단기술 경쟁과 한미관계’ 세미나를 주관하였다.본 세미나는 첨단기술과 관련한 미국 정부와 한국 및 미국의 학계 등 연구자들의 의견 공유를 통해 양국의 종합적인 정책소통 플랫폼 역할에 이바지하고자 마련되었다.행사는 이시욱 KIEP 원장, 유종일 KDI국제정책대학원 원장, 알리사 아이리스(Alyssa Ayres) GW 국제관계대학원 학장의 개회사와 타룬 차브라(Tarun Chhabra)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 선임국장의 미국 안보 정책에 대한 질의응답으로 시작되었다.이시욱 원장은 개회사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첨단기술 분야 한미 협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한미 차세대 핵심 신흥기술 대화를 비롯한 여러 공공 주도 협력이 가동되고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민간 차원의 협력을 통해 한미가 새로운 기술의 상용화에 이바지한 발자취를 소개했다. 이 원장은 한미 협력이 극대화되는 기본 원리로 ‘보완성’을 들며 미국의 새로운 혁신과 친환경 전환으로의 이행을 위해 한국의 제조 역량이 뒷받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향후 정부 차원에서 한미 협력 확대는 보완성을 갖춘 두 국가가 공동 R&D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차세대 표준을 공동 설립함으로써 민간 협력을 이끌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번 국제세미나에서는 송치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로버트 앳킨슨(Robert Atkinson) 미국 정보혁신재단(ITIF) 회장이 “핵심 신흥기술 발전에서의 한미 협력 관계”를 주제로, 존 헤벨스튼(John Hevelston) GW 교수와 김혁중 KIEP 부연구위원이 “첨단산업 유치 경쟁과 한미 해외투자 협력”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류세희 전략물자관리원 국제체제팀장과 톰 래미지(Tom Ramage) 한미경제연구소(KEI) 경제분석관이 “이중용도 첨단기술 개발 경쟁의 외교안보적 함의”에 관해 발제한 후 참가자들과 다양한 의견을 교류하며 한미 양국의 상호협력 확대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명: 국제적 첨단기술 경쟁과 한미관계 국제세미나- 주 제: 국제적 첨단기술 경쟁과 한미관계- 일 시: 2024년 9월 4일(수), 9:00~12:00- 장 소: 미국 워싱턴 D.C. 조지워싱턴대학교- 주 최: KDI국제정책대학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조지워싱턴대학교, 존스홉킨스대학교-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담당자: 세계지역연구1센터 북미유럽팀 김혁중 부연구위원(hjkim@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9/04 조회수 2,002
-
방문학자 세미나 개최 (이탈리아 University of Viterbo-La Tuscia 소속 Chiara Oldani 교수)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9월 3일(화) 세종 본원 4층 대회의실에서 이탈리아 University of Viterbo-La Tuscia 소속 Chiara Oldani 교수를 모시고 방문학자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개최하였다. 이번 세미나는 Chiara Oldani 교수가 KIEP 방문기간 진행한 연구성과를 원내 전문가들과 공유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Oldani 교수는 ‘탈중앙화 금융 부문에서의 G20과 한국의 역할(The Roles of the G-20 and South Korea in Decentralized Finance)’이라는 주제로 디지털 경제와 탈중앙화 금융과 관련된 거버넌스, 규제, 감독 등에 대해 G20 국가 간 논의된 내용을 공유하고 한국의 역할에 대해 발표했다.Oldani 교수는 G20 지도자들이 디지털 경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위기 ‘대응’에서 ‘예방’으로 접근 방식을 전환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발생한 탈중앙화 금융의 대규모 변동과 손실에 대처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증명되었다고도 덧붙였다. 이들은 디지털 경제에서 금융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디지털 자산에 대한 감시와 감독의 부족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의견을 일치한다고 말했다.또, 디지털 혁신 기술에 대해 우호적이고 디지털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한국은 이런 G20의 주요 아젠다를 다루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Oldani 교수는 앞으로 G20가 디지털 금융의 중개와 거래를 원활하게 규제 및 감독하고 데이터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한국은 디지털 부문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다지고자 노력해온 만큼 앞으로도 G20 회원국으로서 그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번 세미나에는 국제거시금융실 정영식 실장과 송하윤 부연구위원, 북미유럽팀 장영욱 부연구위원과 이영준 부연구위원,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김성환 부연구위원 등 원내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발표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주 제: 탈중앙화 금융 부문에서의 G20과 한국의 역할(The Roles of the G-20 and South Korea in Decentralized Finance)- 일 시: 2024년 9월 3일(화) 15:00~16:00 - 장 소: 세종 국책연구단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427호- 발표자: University of Viterbo-La Tuscia 소속 Chiara Oldani 교수- 문 의: 세계지역연구2센터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 이다운 연구원(dawnlee@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9/03 조회수 3,011
-
2024 제2차 KOPEC 아태전략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9월 2일(월) 서울 한국경제인협회(FKI) 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한국경제인협회(FKI) 및 한국경제연구원(KERI)과 공동으로 ‘2024 제2차 KOPEC 아태전략포럼’을 개최하였다. KOPEC 공동회장인 이시욱 KIEP 원장과 정철 FKI 연구총괄대표 겸 KERI 원장이 함께 주최한 이번 포럼에는 미국 통상 전문가인 Danny Leipziger 조지 워싱턴대학교 교수(전 세계은행 부총재)가 발표자로 참석해 미국 대선을 둘러싼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정치·경제적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했다.정철 KOPEC 공동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미 대선이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향후 대선 결과에 따른 미국의 산업 및 무역정책의 방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다양한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본 포럼이 변화하는 미국의 정치 환경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특히 한국에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도전에 대한 귀중한 통찰력을 공유하는 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Danny Leipziger 교수는 “U.S. Politics and Economic Challenges in the Asia Pacific”이라는 주제로 지정학적 분열, 저성장, 원자재 수급 불안, 민족주의 확대, 산업정책 과잉 등 한국이 직면한 글로벌 위협(external threats)과 저출산·인구통계학적 문제, 노인 빈곤, 청년 실업, 정부-기업 관계 등 한국 내부의 도전과제(internal challenges)에 대해 다루었다. Leipziger 교수는 글로벌 위협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내부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며 소프트 외교·R&D 공동연구·기업·대학의 관계 강화 등을 강조했다.정철 KOPEC 공동회장이 좌장을 맡은 질의응답 세션에서는 미 대선 이후 미·중 관계, APEC 및 WTO의 전망, 한국 경제 및 산업에 미칠 영향 등에 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이날 포럼에는 강문성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강인수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강태수 KAIST 초빙교수, 김형주 LG경영연구원 경제정책부문장, 노재봉 ㈜세빛섬 대표이사, 송경진 아시아재단 한국본부 대표, 송유철 동덕여자대학교 국제경영학과 교수, 심미향 롯데케미칼 상무, 양준석 가톨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이주관 KIEP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장, 이태규 한경연 글로벌리스크팀 수석연구위원, 이태호 법무법인 (유)광장(Lee&Ko) 고문, 채욱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대학 객원교수, 최병일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명예교수, 최석영 법무법인 (유)광장(Lee&Ko) 고문, 한두봉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원장, 한홍열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허재준 한국노동연구원 원장, 현오석 GS ESG 위원회 위원장, 현정택 정석인하교육재단 이사장(가나다순) 등 전직 장·차관급 인사, 주요 기업 임원 및 유수의 경제통상 전문가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 행사명: 2024 제2차 KOPEC 아태전략포럼- 일 시: 2024년 9월 2일(월), 7:30~9:00- 장 소: 서울 한국경제인협회(FKI) 타워 컨퍼런스센터- 공동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경제인협회(FKI)/한국경제연구원(KERI)- 문 의: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 곽소영 전문연구원(sykwak@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9/02 조회수 2,772
-
제13차 한국·브라질 비즈니스포럼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8월 22일(목)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한국·브라질 소사이어티(KOBRAS), 외교부와 공동으로 ‘제13차 한국·브라질 비즈니스포럼’을 개최하였다.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동시 진행된 본 포럼은 최근 국제사회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면서 글로벌 사우스의 리더국으로 부상한 브라질과 우리나라의 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되었다.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지난 2023년 11월 양국이 체결한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를 활용한 디지털 전환, 바이오·의약, 공급망, 그린 경제 등 미래지향적 신산업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 방안과 효과적인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 전략을 모색했다.이시욱 KIEP 원장은 개회사에서 과거 정치, 경제, 사회, 글로벌 환경 이슈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둔 룰라 정부가 이번 3기에서도 국내외 기대에 부응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나아가 이날 논의되는 브라질 경제·산업 정책과 미래 신산업에 대한 유익한 정보는 한국과 브라질 간 견고하고 상호 호혜적인 파트너십 구축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편무원 한국브라질소사이어티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한국과 브라질 기업의 협력을 증진하고 양국 간 교역과 투자를 활성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해온 본 행사가 브라질 시장 진출을 추진하는 우리 기업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전했다.총 2부로 구성된 행사의 첫 번째 세션은 ‘브라질 경제·산업 전망과 산업정책’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홍성우 KIEP 아프리카중동·중남미팀장이 좌장을 맡고 박미숙 KIEP 전문연구원, 월라시 모레이라 리마(Uallace Moreira Lima) 브라질 개발산업통상서비스부 차관보, 제퍼슨 지 올리베이라 고메스(Jefferson de Oliveira Gomes) 브라질 산업연맹(CNI) 이사가 브라질의 경제 현황, 신산업 정책, 한국과의 신산업 분야 협력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두 번째 세션은 ‘한국-브라질 미래 신산업 협력’을 주제로 조희문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의 사회하에 진행되었다. 주로 브라질 신산업 정책의 핵심 분야인 제약, 에너지 전환용 광업, 재생에너지, 콘텐츠·엔터산업에서의 양국 간 파트너십 구축과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 시간이었다. - 행사명: 제13차 한국·브라질 비즈니스포럼- 주 제: 미래 신산업 분야 협력을 통한 한국-브라질 파트너십 강화- 일 시: 2024년 8월 22일(목), 9:00~12:35- 장 소: 서울 워커힐 호텔 / Zoom- 주 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브라질 소사이어티(KOBRAS), 외교부- 후 원: 주한브라질대사관- 문 의: 한국·브라질 소사이어티 사무국(admin@kobras.or.k/ 02-2090-9797)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8/22 조회수 3,129
-
2024 한국개발정책학회-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하계 공동 학술대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7월 26일(금) 한국개발정책학회와 공동으로 “개발정책 실증분석, 증거기반 개발정책”이라는 주제의 ‘2024년 하계 공동 학술대회’를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했다.본 세미나는 개발협력 사업 단위의 효과성 제고와 증거 기반 정책 수립 활용을 위한 연구 활성화 및 관련 연구자들의 학술적 교류를 도모하고자 마련된 자리였다. 이날 행사는 정혁 한국개발정책학회 학회장(서울대학교)의 개회사와 안성배 KIEP 대외협력부원장의 축사로 시작되었다.1세션은 “정책효과 실증분석”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정지원 KIEP 국제개발연구센터장이 사회를 보는 가운데 가축보험을 통해 소비자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맞춤형 조언과 인센티브(손혁 위트레흐트대학교 경제학 박사), 탄자니아 농촌지역에서의 에너지 접근성이 학생 행동에 미치는 영향(노윤재 KIEP 인도남아시아팀 부연구위원)에 대한 발표와 이종욱 서울대 교수, 신유승 KOICA 팀장의 토론이 이어졌다.“증거 기반 정책”을 주제로 한 2세션은 김부열 서울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었다. 멕시코에서 시장 암살 시도 결과가 지방정부 역량에 미치는 영향(이승헌 HKUST 박사), 라이베리아의 탄소 상쇄에 대한 대중의 지지(박성호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관련 발표와 유은진 KISDI 박사, 양준석 성균관대학교 교수의 토론으로 구성되었다.마지막 세션에서는 정혁 서울대 교수의 사회하에 대학원생 및 신진 연구자들의 발표와 이에 대한 KIEP 측 정원혁·강문수·한선이·홍성우 부연구위원의 토론이 이뤄졌다.이시욱 KIEP 원장의 폐회사로 마무리된 본 학술대회는 학계 전문가, 연구자, 국제기구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40여 명의 참석자들이 개발정책 실증분석과 증거기반 개발정책에 대해 의견을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행사명: 2024 한국개발정책학회–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하계 공동 학술대회- 주 제: 개발정책 실증분석, 증거기반 개발정책- 일 시: 2024년 7월 26일(금) 13:30~18:00- 장 소: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회의실- 공동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개발정책학회- 문 의: 국제개발연구센터 개발협력정책팀 박소정 연구원(sojeong@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7/26 조회수 3,157
-
2025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민간 자문단 간담회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7월 25일(목)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5층 위조인스 회의실에서 ‘2025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민간 자문단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본 간담회는 2025년 APEC 의장국을 우리나라가 수임함에 따라 개최되는 중소기업 장관회의*의 주제 및 세부의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는 역내 회원국 중소기업 담당 장관들이 모여 주요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1994년 일본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매년 당해 APEC 의장국이 주최이날 간담회에는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대희 중소기업정책실장 등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와 최석영 전 APEC 사무총장, 정철 한국경제인협회 연구총괄대표, 이동주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장직무대행 등 민간 자문단이 참석했다. KIEP에서도 이시욱 원장을 비롯해 이주관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 사무국장 등이 동석했다.오영주 장관의 모두발언으로 시작한 행사는 KIEP 이주관 사무국장의 2025년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의제(안)에 대한 발제 이후 참석자 전원의 자유토론으로 이어졌다. 자문위원들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혁신, 지속가능한 성장, 포용성 등 중소기업 핵심 이슈들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와 세부 의제의 선정, 주요 성과물로 도출할 새로운 이니셔티브(안)를 어떻게 설정할지에 등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행사명: 2025 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 민간 자문단 간담회- 일 시: 2024년 7월 25일(목), 16:00~17:30- 장 소: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5층 위조인스 회의실- 주 최: 중소벤처기업부-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 곽소영 전문연구원(sykwak@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7/25 조회수 2,469
-
2025 APEC 주제 및 중점과제 전문가 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7월 24일(수) 웨스틴조선 서울에서 ‘2025 APEC 주제 및 중점과제 관련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하였다.이번 세미나는 우리나라가 2025년 APEC 의장국을 수임함에 따라 전문가 워킹그룹이 제안한 2025년 APEC 주제 및 중점과제에 대해 전문가 및 관계부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학계 전문가와 교수, 관계부처 및 기관 담당자, 자문위원 등 100여 명이 현장에 참석하였다.전문가 워킹그룹이 먼저 2025년 APEC 주제·중점과제(안)을 제시하고 난 후, 푸트라자야 비전 2040*의 3대 축인 △무역·투자 △혁신·디지털화 △지속가능·포용적 성장을 주제로 세션별 전문가 패널 발제가 이어졌다. 이후 전문가와 관계부처 담당자 등 참석자 전원이 주제 및 중점과제(안)에 대해 자유토론을 진행했다.* 푸트라자야 비전(Putrajaya Vision) 2040: APEC 장기 비전으로, 2040년까지 APEC의 협력 방향을 담은 문서(2020 APEC 정상회의에서 채택) - 3대 핵심요소: ①무역·투자 자유화 ②혁신·디지털 경제 ③포용적·지속가능한 성장2025년 APEC 주제·중점과제는 이번 세미나 이후 추가적인 의견수렴 절차 등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행사명: 2025 APEC 주제 및 중점과제 관련 전문가 세미나- 일 시: 2024년 7월 24일(수), 14:00~17:00- 장 소: 웨스틴조선 서울 오키드룸(2층)- 주 최: 외교부- 주 관: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문 의: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 곽소영 전문연구원(sykwak@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7/24 조회수 2,643
-
난민연구네트워크 제2차 워크숍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7월 12일(금), 13일(토) 양일간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백년관에서 난민연구네트워크, 유엔난민기구(UNHCR) 한국대표부와 공동으로 ‘난민연구네트워크 제2차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워크숍은 “한국의 난민 정책,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첫날 행사는 김치완 탐라문화연구원장의 개회사, 장용규 경계너머 연구센터 소장의 환영사, Douglas DiSalvo UNHCR 한국대표부 대표대행과 윤정환 KIEP 개발협력정책팀장의 축사로 시작되었다. “난민 통합에 관한 현안과 쟁점”이라는 주제의 1세션은 장영욱 KIEP 북미유럽팀 부연구위원의 사회하에 난민통역(이향 한국외대 교수), 난민가족의 흩어짐과 가족결합(한나현 서강대 박사 수료), 영주권과 귀화(김종철 공익법인 어필 변호사)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이었다. 2세션은 “난민 수용의 새로운 접근방식”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조영희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이 사회를 보는 가운데 보충적 수용경로의 모색: 기술난민(이탁건 UNHCR 담당관), 보충적 수용경로의 모색: 난민유학생(유혜림 성균관대 좋은민주주의연구센터 연구원), 중앙아시아의 난민 수용(Shukurova Mekhriniso 건국대 이주·사회통합연구소 전임연구원), 유럽의 우크라이나 난민 수용(김윤정 KIEP 부연구위원)에 대한 발제가 이어졌다.둘째 날에는 난민의 회복과 연구자 보호에 기여하는 인터뷰 방법(박재윤·오유현 호모인테르 공동대표), 재정착 난민 설문조사 사례(최영일 김포시외국인주민지원센터장), 유튜브 채널 ‘난민대책국민행동’의 난민에 대한 인식(강진구 제주대 교수),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난민 연구(신선호 아주대 교수) 등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발표 이후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이번 워크숍에는 학계와 연구자뿐만 아니라 국제기구 실무자, 난민 지원 단체 등 시민사회 활동가, 정부 관계자 등 다양한 기관에서 60여 명이 참석하여 난민 연구자 간 협력을 증진하고 난민 연구에 폭넓은 이해관계자를 참여시켜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행사명: 난민연구네트워크 제2차 워크숍- 주 제: 한국의 난민 정책, 무엇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일 자: 2024년 7월 12일(금)~13일(토)- 장 소: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백년관- 공동주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난민연구네트워크, 유엔난민기구(UNHCR) 한국대표부- 공동주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경계너머 연구센터,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문 의: 국제개발연구센터 개발협력정책팀 윤혜민 전문연구원(hmyoon@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7/13 조회수 2,443
-
세종시 해밀고등학교 학생단 방원 및 전문가 특강 진행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7월 12일(금) 본원을 방문한 세종시 해밀고등학교 ‘국제사회 중점 과정 학생운영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특강을 통한 경제교육을 진행하였다. 전문가 특강은 정재완 세계지역연구2센터 동남아대양주팀 선임연구원이 ‘신흥국과의 경제협력’이란 주제로 동남아시아 주요국의 경제 특징 및 최근 이슈와 우리나라와의 경제협력에 대해 진행했으며, 학생들은 미리 준비해 온 질문 외에 현장에서도 여러 질문을 이어가며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아울러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서 KIEP의 역할과 주요 연구 분야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 학생들이 연구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소양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며 미래의 삶과 진로를 탐색해 보는 시간을 가졌다.- 행사명: 세종시 해밀고등학교 학생단 방원 및 전문가 특강- 일 시: 2024년 7월 12일(금), 16:00~18:00- 장 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호 중회의실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7/12 조회수 2,095
-
2024 한국국제경제학회 하계정책세미나 개최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2024년 6월 20일(목) 오후 2시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한국국제경제학회(KIEA), 한국경제연구원(KERI)과 함께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2024 한국국제경제학회 하계정책세미나’를 개최하였다.이날 행사는 원용걸 KIEA 회장의 개회사, 이시욱 KIEP 원장과 정철 KERI 원장의 축사,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의 기조연설로 시작되었다. 이시욱 KIEP 원장은 축사를 통해 현재 세계는 다양한 위기가 상시화되는 “Perma-Crisis” 시대에 돌입했다고 말하며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고령화 등으로 과거 경험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정책의 제약조건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국제통상환경의 변화가 구체적인 갈등으로 발현된 대표적인 현상이라고 진단하며, 금번 세미나가 통상 및 경제안보 분야에서 현실과 이론을 두루 아우르는 논의의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1세션에서 예상준 KIEP 무역투자정책팀 연구위원은 <글로벌 공급망 분절화의 거시경제적 영향>(김현수 연구위원 공저)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예상준 연구위원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양국이 주축이 되는 경제 블록의 형성 방식에 따라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력은 차별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이 러시아와 블록을 형성하는 상황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구성될 경제 블록이 향후 참여국들의 범위(△미국, 캐나다, 멕시코 △미국, 멕시코, 캐니다, 영국, 호주, EU △미국, 멕시코, 캐나다, 영국, 호주, EU, 한국, 일본, 인도)와 주요 전략 산업에서의 공급망 재편 가능성에 따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방향에 대한 제안을 참석자들과 공유했다.이후 2세션에서는 김홍기 학국경제학회장이 사회자로 나선 가운데 김종덕 KIEP 무역통상안보실장, 송백훈 동국대학교 교수,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장성길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정책국장, 조성대 학국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실장이 참여해 토론을 진행하였다.참석자들은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정책이 전 세계와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결과를 논의하고, 이에 기반한 우리 정부와 기업의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행사명: 2024 한국국제경제학회 하계정책세미나- 주 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한국의 대응- 일 시: 2024년 6월 20일(목), 14:00~20:00- 장 소: 서울 코리아나호텔 2층 다이아몬드홀- 공동주최: 한국국제경제학회(KIEA),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한국경제연구원(KERI)- 문 의: 무역통상안보실 길하영 연구조원(hykil@kiep.go.kr)작성자 노현주 작성일 2024/06/20 조회수 2,808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