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본연구보고서

발간물

전체 2,897건 현재페이지 136/290

  •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의 주요국 운영사례 분석 및 시사점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의 주요국 운영사례 분석 및 시사점

    개방의 피해는 기업과 근로자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무역개방으로 인한 피해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은바, 해당 산업 및 근로자뿐만 아니라 그 산업과 근로자에 의존한 지역경제의 구조조정을 야기하며, 고용 감소 등으로 인해 세수입이..

    김정곤 외 발간일 2011.09.09

    경제개방,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과 의의
    2. 연구 목적과 구성
    3. 선행연구와 본 보고서의 차별성


    제2장 EU
    1. 개관
    2. 유럽구조기금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사례와 성과
    3. 평가


    제3장 캐나다
    1. 개관
    2. 침엽수산업 및 공동체 경제조정계획(SICEAI)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성과와 사례
    3. 평가
    가. 지원의 적절성
    나.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
    다. 종합


    제4장 미국
    1. 개관
    2. 공동체 구조조정 및 투자 프로그램(CAIP)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성과와 사례
    마. 평가
    3. 공동체 TAA
    가. 운영 구조
    나. 지원 대상
    다. 지원 내용
    라. 운영 성과와 사례
    마. 평가


    제5장 정책적 시사점
    1. 제도의 유용성
    2. 제도 운영의 목표
    3. 지역공동체의 역할
    4. 중앙과 지역의 협력
    5. 기타
    가. 책임 부처의 단순화
    나. 사후 관리 및 투명성
    다. 지원 기간과 시점의 적절성
    라. 적절한 지원 대상 선정기준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개방의 피해는 기업과 근로자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 무역개방으로 인한 피해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은바, 해당 산업 및 근로자뿐만 아니라 그 산업과 근로자에 의존한 지역경제의 구조조정을 야기하며, 고용 감소 등으로 인해 세수입이 감소되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농어업 분야에 대한 FTA 피해 지원제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에서는 무역피해에 특정된 지역단위 지원제도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한․EU FTA가 발효되고, 한․미 FTA 역시 비준을 앞둔 현시점에서 농업 분야 이외에 제조업, 서비스업 등 전산업을 아우르는 보편적인 무역피해 지역단위 지원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EU의 유럽구조기금(European Structural Fund) 및 캐나다의 침엽수산업과 공동체의 경제조정계획(SICEAI: Softwood Industry and Community Economic Adjustment Initiative), 그리고 미국의 공동체 구조조정 및 투자 프로그램(CAIP: Community Adjustment and Investment Program)과 2009년 도입된 공동체 TAA(Community Trade Adjustment Assistance)와 같은 해외의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유사 제도의 필요성과 이를 도입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 따르면, 무역피해에 대한 지역단위 지원제도의 도입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즉, 지역단위 무역피해 지원제도는 1) 적절히 운영될 경우 지역경제의 새로운 발전 동력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며, 단기적인 피해보상 중심의 무역피해 지원제도 및 여타 지역발전정책을 보완할 수 있고, 2) 장기적인 지역경제 구조개선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 지역공동체의 자발성에 기초할 때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4) 중앙정부와 지역 간의 적절한 역할 분담 및 협력체계 구축이 중요하다. 또한 5) 운영 시 책임 부처의 단순화 또는 중앙 부처 간의 효과적인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6) 투명한 제도 운영과 적절한 사후 관리가 뒷받침되어야 하며, 7) 정해진 기간 동안 시의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하고, 8) 현실적이고 객관적인 지원대상 선정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 The List of Publications in English 1990-2011
    The List of Publications in English 1990-2011

     이 목록집은 연구원 개원 이후 현재까지 발간된 영문발간물 목록집입니다(초록 수록).

    KIEP 발간일 2011.09.01

    경제발전,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이 목록집은 연구원 개원 이후 현재까지 발간된 영문발간물 목록집입니다(초록 수록).

  • Empirical Tests of Comparative Advantage: Factor Proportions, Technology, and Ge..
    Empirical Tests of Comparative Advantage: Factor Proportions, Technology, and Ge..

    본 논문은 헥셔 ‒ 오린모형, 리카도모형, 중력모형 등 국제비교우위를 설명하는 기존의 무역모형을 통합하는 회귀방정식을 도출하고, 어느 무역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GTAP 데이터와 세계은행, UN의 거시..

    최낙균 발간일 2011.08.29

    무역구조, 무역정책
    원문보기
    목차

    I. Introduction 


    II. Basic Model and Database 
    1. Basic Model 
    2. Estimation Equation and Database 


    III. Estimation Results 
    1. Estimation for the Pooled Data  
    2. Estimation by Regional Groups 
    3. Estimation by Sectoral Groups 
    4. Relative Strength of Competing Models 


    IV. Conclusions 


    References 


    Appendix 
     

    국문요약

    본 논문은 헥셔 ‒ 오린모형, 리카도모형, 중력모형 등 국제비교우위를 설명하는 기존의 무역모형을 통합하는 회귀방정식을 도출하고, 어느 무역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GTAP 데이터와 세계은행, UN의 거시 ∙ 무역 데이터를 통합한 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세 가지 무역모형 중에서 헥셔  ‒ 오린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중력모형과 리카도모형의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유의한 결과에서 부존자원 및 기술격차의 부호가 모형의 예측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거리, 국경, 언어, 식민지, FTA 등 중력모형의 변수들이 무역의 흐름을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모형의 설명력은 산업 및 지역별로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본 요소의 파라메터 추정 부호는 자원집약적 부문의 경우 예상과 다르게 마이너스 부호를 가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기술격차도 산업별 분석에서는 예상과 다르게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선진국, 유럽 국가, 중미 국가 에서 식민지 더미변수의 부호도 예상과 다르게 나타났다.

  • KIEP List of Publications (2009-2011. 7)
    KIEP List of Publications (2009-2011. 7)

    KIEP 발간일 2011.07.30

    경제전망,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 KIEP 발간자료목록(2009-2011. 7)
    KIEP 발간자료목록(2009-2011. 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1.07.30

    경제전망, 경제협력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 2010 Annual Report
    2010 Annual Report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

    KIEP 발간일 2011.06.30

    경제발전,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여한 바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원의 한 해 활동을 대외에 알릴 뿐만 아니라, 나아가 2010년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의 동향과 이슈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보고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2010 연차보고서
    2010 연차보고서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1.06.30

    경제발전,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KIEP의 2010년 한 해 연구성과들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연구활동의 각오를 다지는 계기로 삼기 위해 2010년 연차보고서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본원 연구진들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인 연구보고서 및 연구자료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정부정책에 기여한 바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원의 한 해 활동을 대외에 알릴 뿐만 아니라, 나아가 2010년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의 동향과 이슈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보고서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KIEP 발간일 2011.06.23

    경제발전,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Policy Analysis/Conference Proceedings/Studies in Comprehensive Regional Strategies/Regional Study Series/Trade and Investment Study Series/Policy References/Working Papers/CNAEC Research Series/SNU-KIEP EU Centre Research Series
    국문요약
    2010 Summaries of Research Reports
  • 2010 연구보고서 요약집
    2010 연구보고서 요약집

    2010 연구보고서 요약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발간일 2011.06.15

    경제발전, 경제전망
    원문보기
    목차

    연구보고서/세미나자료모음/전략지역심층연구/지역연구시리즈/무역투자연구시리즈/연구자료/Working Paper/KIEP-KOTRA 유망국가 산업연구/동북아연구시리즈/SNU-KIEP EU Centre Research Series

    국문요약
    2010 연구보고서 요약집
  • 장쑤성(江蘇省) 태양광산업의 발전과 시사점
    장쑤성(江蘇省) 태양광산업의 발전과 시사점

    날로 심각해져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태양광산업은 차세대 대체에너지원이자,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서 우리나라를 위시한..

    노수연 발간일 2011.06.15

    산업정책, 에너지산업
    원문보기
    목차
    국문요약

    제1장 서론

    제2장 중국 태양광산업
    1. 태양광산업의 개요
    2. 중국 태양광산업의 현황
    가.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치
    나. 주요 정책

    제3장 장쑤성 태양광산업
    1. 장쑤성 태양광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2. 주요 정책
    3. 특징: 타 지역과의 비교
    4. 도시간 비교 및 주요 클러스터
    5. 소결

    제4장 기업사례 분석
    1. 썬테크
    2. 트리나솔라
    3. 썬링크PV
    4. GCL
    5. 소결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 장쑤성 태양광산업을 통해 본 지방정부-기업협력모델
    2. 정부에 대한 시사점
    가.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나. 차별화된 태양광산업클러스터의 건설
    다.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 확대
    3. 기업에 대한 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국문요약
    날로 심각해져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대체에너지원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중 태양광산업은 차세대 대체에너지원이자,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신성장동력으로서 우리나라를 위시한 전 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우리와 경쟁 및 협력 관계에 있는 중국은 2007년부터 세계 최대의 태양광산업기지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지금까지 해외수출에만 의존하던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향후에는 중국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의 확대가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중국 태양광산업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거시적인 차원에서 전반적인 발전 현황과 문제점, 시장잠재력 및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을 소개하는 자료가 많았다. 그러나 중국 지역시장 진출이나 우수로컬기업과의 협력 등 우리 정부 및 기업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특화된 심층연구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쑤성(江蘇省)을 사례로 중국 태양광산업 및 기업 현황과 성장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 정부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0년 7~11월간 3회에 걸쳐 현지조사(난징(南京), 우시(無錫), 창저우(常州), 쉬저우(徐州), 롄윈강(連雲港))를 진행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중국 태양광산업의 현황과 특징, 주요 정책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장쑤성 태양광산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장쑤성은 중국 내 태양광산업을 대표하는 지역으로, 이곳에 위치한 태양광업체 중 6개사가 해외상장을 하는 등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업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태양전지의 경우 중국의 70%, 전 세계 생산량의 25%가 이곳에서 생산된다. 또한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태양광산업가치사슬의 모든 분야가 상대적으로 골고루 발전하였으며, 풍부한 생산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지역에만 기업들이 집중되어 있고, 각 도시에서 경쟁적으로 앵커기업을 중심으로 한 클러스터 형성에 몰두하고 있어 지역 내 과당경쟁의 우려가 있다. 4장에서는 썬테크, 트리나솔라, 썬링크PV, GCL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들 기업의 성장에서 기업가 정신과 지방정부의 지원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입증했다.
    마지막으로 우리 정부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태양광산업 및 기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부는 첫째, 중소․벤처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각종 방안을 마련하고, 둘째, 지역별로 차별화된 태양광클러스터를 구축하며, 셋째, 국내 태양광발전 시장을 확대할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기업의 경우 태양광산업 가치사슬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해 경쟁력 있는 부분은 한국에서 직접 수출하고,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분은 M&A나 신규법인 설립 등을 통한 중국 현지투자를 적극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 태양광 시장 진출이나 중국 태양광업체와 협력을 추진하는 데 지역별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며, 장쑤성 내에서도 도시별 강점을 고려해야 한다.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